티스토리 뷰

개발/Flutter

Flutter : 소수점 처리 하기(올림, 반올림, 버림)

부캐: 개발하는 조대리 2023. 5. 9. 18:54
반응형

소수점 처리 하기

소수점 자릿수 고정 숫자 계산을 위해서는 toStringAsFixed() 함수를 사용합니다. 이 함수를 사용하면 소수점 이하의 자릿수를 고정할 수 있습니다. 예를 들어, double 타입인 amount 변수를 소수점 둘째 자리까지 고정하고 싶다면 다음과 같이 작성합니다.

// 소수점 이하자리 고정
String result = amount.toStringAsFixed(2);

 

소수점 올림 처리를 하기 위해서는 ceil() 함수를 사용합니다. 이 함수를 사용하면 소수점 이하의 숫자를 무조건 올림 합니다. 예를 들어, double 타입인 amount 변수를 소수점 첫째 자리에서 올림 하고 싶다면 다음과 같이 작성합니다.

// 올림
double result = amount.ceilToDouble();

 

소수점 반올림 처리를 하기 위해서는 round() 함수를 사용합니다. 이 함수를 사용하면 소수점 이하의 숫자를 반올림합니다. 예를 들어, double 타입인 amount 변수를 소수점 첫째 자리에서 반올림하고 싶다면 다음과 같이 작성합니다.

// 반올림
double result = amount.roundToDouble();

 

소수점 버림 처리를 하기 위해서는 floor() 함수를 사용합니다. 이 함수를 사용하면 소수점 이하의 숫자를 무조건 버립니다. 예를 들어, double 타입인 amount 변수를 소수점 첫째 자리에서 버림하고 싶다면 다음과 같이 작성합니다.

// 버림
double result = amount.floorToDouble();

 

그 외 소수점 자릿수가 가변적이고, 일정한 규칙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NumberFormat 클래스를 사용합니다. NumberFormat 클래스를 사용하면 소수점 이하의 자릿수를 지정할 수 있고, 숫자의 형식을 지정할 수 있습니다. 예를 들어, double 타입인 amount 변수를 소수점 이하의 자릿수가 가변적이고, 천 단위로 쉼표(,)를 표시하고 싶다면 다음과 같이 작성합니다.

// 포맷지정
NumberFormat format = NumberFormat('#,##0.00');
String result = format.format(amount);

이 코드를 실행하면 amount 변수의 값이 천 단위로 쉼표(,)를 표시하고, 소수점 이하의 자릿수가 둘째 자리까지 표시된 String 타입의 result 변수가 반환됩니다.

 

개인적으로 학습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.

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알려주세요. 확인 후 수정 및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.

 

오늘도 감사합니다.(__)>

'개발 > Flutt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Flutter : Stack 위젯에 대해 알아보자  (0) 2023.05.11
Flutter : PercentIndicator(ProgressBar) 만들기  (0) 2023.05.10
Flutter : Spacer 이용하기  (0) 2023.05.04
Flutter : InkWell 버튼 만들기  (0) 2023.05.02
Flutter : 즐겨 찾기  (2) 2023.04.26